
Introduction 많은 이들이 결정계수 R^2과 상관계수의 제곱 r^2을 동등하게 여긴다. 이는 통계학에서 두드러지는데, 실제로 책 에서는 결정계수를 r^2으로 계산하도록 하고, 통계학 특화 프로그래밍 언어 R의 매우 유명한 package, caret package의 함수 postResample마저도 그렇다. “상관계수를 제곱한 값, 즉 을 결정계수(coefficient of determination)라고 부른다. 이 값은 한 변수의 변이성(variability) 또는 변동(variation)을 다른 변수가 어느 정도나 공유하는지 말해주는 척도이다.” 책 Caret package 개발자의 설명 문서, topepo.github.io/caret/measuring-performance.html#measu..